신두사구 생태공원 안내판 시안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신두사구 생태공원 안내판 시안입니다.

여러개의 시안이 필요한것 중에 하나만 만들어서 올려드립니다.
아직 진행중입니다.

개구리에대한 내용이 들어가고 큐알코드를 이용해서 개구리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려고 합니다.
작은 안내판+ 큐알코드
이것이 에코펌의 안내판 컨셉입니다.
요즘은 많은 분들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어서 가능한것 같습니다.

오대산 국립공원 월정사 전나무숲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오대산 월정사 국립공원에 아름다운숲 전국대회 대상수상 사인시설을 설치하였습니다. 

덕분에 아름다운 전나무숲도보고 월정사도 구경하고 왔습니다



 오대산 월정사 전나무 숲에서 가장 큰 전나무였는데 이제는 쓰러져서 모두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제주도 사려니숲길 실물이름표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일부 안내시설이 있긴하지만, 제주 사려니숲만의 특징과 숲생태계를 탐방객들에게 정확히 알려야 이 숲이 우리 미래세대들에게 전해지지 않을까하여 '숲안내시설'을 보완하여 탐방객에게 알리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지켜야할 우리의 숲을, 오감으로만 느끼기보다는, 이제는 마음으로, 머리로 함께 느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 우리의 몫이기도 하겠고요.
그렇다고 숲에 쉬러 왔는데, 너무 학습장같은 분위기이면 되려 머리 아프겠죠?
그리고 혹여 이 시설이 너무 인위적으로 다가설까봐, 혹은 사려니숲의 경관에 되려 해를 끼칠까봐 고심고심하면서 재질부터 설치방법, 개수, 위치, 사람의 눈높이, 내용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였습니다. 또하나, 제작 및 설치과정에서도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 재질을 활용하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저 단순한 시설물로만 보일수도 있지만, 그 과정에는 많은 고민과 노력이 담겨있습니다.
 
어떠세요? 사려니숲을 이해하시는데 조금 도움이 되실까요? 당단풍의 향연이 너무 아름답지요?

해파랑길 사인시설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햐파랑길 시적지점인 오륙도입니다

해파랑길은 부산부터 고성까지 770km 정도 되는 길입니다.

처음 시작이지만 잘만들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큐알코드안내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큐알코드에 대한 안내입니다.

ecoperm 02-927-7250


QR코드 안내시설에 대한 내용입니다.
QR코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을 보시면 대략적인 내용을 보실수 있습니다.
QR코드에 대한 사례를 보시면
http://mugeolabel.blogspot.com/ 울산무거초등학교 사례입니다.


전남과학교육원 사인시설물 설치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전남과학교육원 야외전시물 안내판

전남과학교육원에 있는 야외시설물 안내판입니다.

스테인레스 외관에 내부 재질은 아크릴에 실사출력한 내용을 붙인것 입니다.
내부 재질이 훼손되어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교체한 재질은 PC판에 배면인쇄를 하고 UV코팅을 한 것입니다.


<작업전사진>

<작업후사진>

문화재형-사인시설


최소한의 부재를 사용하여 물성이 강조된 디자인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모든 소재는 천연 방부 성능을 가진 적삼목과 철판, 석재를 이용했습니다.
종합안내판, 구역안내판, 해설판, 방향안내판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문화재형은               
최대한 간단하고 시인성이 높도록 제작하였습니다.  
문화재청이 지정한 사인시설물 기준에 의거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문화재, 전통숲길, 역사가 있는 숲길에 어울리는 사인시설입니다. 


제작방식
기둥은 천연방부 성능을 가진 적삼목을 이용하고 있으며, 부식이 강한 철판을 사용합니다.
안내판은 애칭기법, 실크인쇄 등 다양한 출력이 가능합니다. 
규격은 변경이 가능하며 이를 기본으로 하여 파생된 디자인 제작도 가능합니다.


HA001 종합안내판 900*1800
적삼목 기둥, 화강암 혹두기, 볼트체결, 
ST 철판, 분체도장, 애칭기법

HA002 종합안내판 소형 1000*1600
적삼목 기둥, 화강암 혹두기, 볼트체결, 
ST 철판, 분체도장, 애칭기법






HA003 종합안내판 900*1800
적삼목 기둥, 오일스테인 처리, 볼트체결, ST 지정색 분체도장, 애칭기법

HA004 종합안내판 소형 1000*1600
적삼목 기둥, 오일스테인 처리, 볼트체결, ST 지정색 분체도장, 애칭기법



HE001 구역안내판 800*1300
화강암 혹두기, 볼트체결, 
ST 철판, 분체도장, 애칭기법

HE002 구역안내판 800*1300
적삼목 기둥, 오일스테인 처리, 볼트체결, ST 지정색 분체도장, 애칭기법


HI001 생태해설판 800*1600
적삼목 기둥, 화강암 혹두기, 볼트체결, 
ST 철판, 분체도장, 애칭기법

HI002 생태해설판 800*1600
적삼목 기둥, 오일스테인 처리, 볼트체결, ST 지정색 분체도장, 애칭기법


HD001 방향안내판 H1800~2200
적삼목 기둥, 화강암 혹두기, 볼트체결, 
ST 철판, 분체도장, 애칭기법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강릉 kist 연못을 리모델링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강릉카이스트에서 연못을 리모델링 한다고 하여 문의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기본계획을 아주 간단하게 만들어 드렸습니다.

콘크리드로 된 곳에 수생식물과 흙을 도입하여 자연스러운 형태의 연못으로 리모델링하려고 합니다.


제주 사려니숲길 사인시설

ecoperm Tel:02_927_7250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꿈꾸는 기업

제주도 사려니 숲길에 숲해설을 위한 사이시설이 설치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쁘면서 시각적으로 불편하지 않으면서도 탄소를 적게 쓰고, 제주도에 돈을 떨구고 올 것인가에 대하여 생각했습니다.

우리가 만들지만 이런 것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가능할까요?


물론 어려웠습니다.

그래도 그것을 목표로 잡고 그것에 근접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 디자인
일단은 세로형으로 하자
가로형은 생각보다 잘 보이고 풍경을 가로 막는다.
그러면가로형으로 낮게 설치하면 되는것 아닌가? - 그런데 그러면 빗물이 튀고 훼손의 위험도 있어서 접음
그리고 자연스러운 소재를 쓰고 해설판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서 꼭 해설이 아니라 이벤트가 있을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게 목대로 글을 파는 것보다 친환경 적일 것이라 생각함

2. 탄소를 적게쓰는 방법은?
일단 제주도이니가 움직임을 최소화 한다.
그러니 제주도에서 나는 재료를 이용해서 만든다.
그 결과 제주도 삼나무를 이용하기로 했다. 생각보다 가격이 싸지는 않았고 제주도에서 가공을 하다보니 기존의 목재보다는 비싸기는 했으나 - 제주도 산물을 제주도 사람이 가공해서 이용한다는 측면에서는 탄소배출량도 줄이고 지역에 돈을 떨굴 수 있는 방법인것 같다.
최대한 사려니 숲길에서 가까운 제재소와 목공소를 이용했다. 한남지역








콘크리트 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제주돌을 이용해여 노출되게 사용함
제주도에는 돌도 맣고 제주도만이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제주도 돌을 베이스로 선택 생각보다 멋지고 제주도만의 특성이 나타나는듯 하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 본것이 이번의 사인시설
물론 이것 저것 등은 서울에서 공수해서 갔지만 그래도 많은 부분을 제주도에서 해결했다는 것







홈으로